쿠마모토현의 역사 7 - 키쿠치, 아소씨의 기원
중세의 시작 - 무사의 발흥
平安時代後期、日本各地で武士が勃興し勢力を確立してゆく。これは肥後国においても同様に見られ、有力な武士団が形成された。しかし、いずれも肥後一国を支配下に置く「一国棟梁」に至った者は生まれず、これは豊臣秀吉の登場を待た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
헤이안 시대 후기, 일본 각지에서는 무사가 발흥해 세력을 확립해 나갔다. 이런 현상은 히고국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 유력한 무사단이 형성됐다. 그러나 누구도 히고국 전체를 지배하에 두는 ‘일국동량’(一国棟梁)에 이르지는 못했고, 이후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등장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肥後を代表する武士団は菊池・阿蘇の両氏であり、緑川流域の木原氏や諸島部の天草氏、人吉や球磨川流域に拠した関東下向系の相良氏、戦国時代に名を馳せた隈部氏なども知られている。肥後に限らず九州の武士は府官すなわち大宰府に所属する仕官を源流とするものが多く、刀伊の入寇時に戦いに当たった諸氏の記録に名が見られる。
히고를 대표하는 무사단으로는 키쿠치(菊池), 아소(阿蘇) 두 씨족이 있다. 미도리카와 강 유역의 키하라씨(木原氏)나, 제도부(諸島部)의 아마쿠사씨, 히토요시와 쿠마 강 유역에 근거한 관동 출신의 사가라씨(相良氏), 전국시대에 이름을 떨친 쿠마베씨(隈部氏) 등도 알려져 있다. 히고 뿐만 아니라 큐슈의 무사는 부관(府官), 즉 다자이후(大宰府)에 소속된 관리를 원류로 하는 경우가 많다. 토이의 침략(刀伊の入寇) 때 전투에 참가한 여러 씨족의 기록에서 그 이름을 볼 수 있다.
菊池氏の始まり 키쿠치씨의 기원
菊池氏は、その初代・菊池則隆が、刀伊の入寇において大宰権帥藤原隆家の配下で活躍した藤原系の郎党・政則(蔵規)を父に持つとされる。当時、九州の有力豪族は権威を保持拡大するために大宰府との接触を持ったが、菊池氏もこの例に則していた。ただし、太宰小弐・対馬守に任命された政則に対し、則隆やその子・政隆(西郷太郎)は郡司家系列の「肥後国住人」ともされていた事から、両者には必ずしも血筋の繋がりあったとは限らず、本来は主従関係にあったともする考えもある。
키쿠치씨의 시조인 키쿠치 노리타카(菊池則隆)는 토이의 침략에서 다자이후의 곤노소치(権帥, 장관대리) 후지와라노 타카이에(藤原隆家)의 휘하에서 활약한 후지와라계의 일족(郎党)인 후지와라노 마사노리(藤原政則)의 아들이라고 한다.
당시 큐슈의 유력 호족은 권위를 유지, 확대하기 위해 다자이후와의 접촉하고 있었는데, 키쿠치씨도 이 예를 따르고 있었다. 다만 다자이후의 쇼니(少弐, 하위의 차관) 및 쯔시마노카미(対馬守)에 임명된 마사노리에 비해, 노리타카나 그 아들인 마사타카(政隆)는 군사(郡司[1]) 가문 계열의 ‘히고국 현지인’(肥後国住人)으로도 여겨진다. 이 때문에 양자간에 반드시 혈연관계가 있다고는 할 수가 없으며, 본래는 주종관계에 있었다는 설도 있다.
阿蘇氏の始まり 아소씨의 기원
もうひとつ、中世肥後の有力武士団となる阿蘇氏(宇治姓)は特異な性質を持っていた。阿蘇氏は、阿蘇国造の系列を称し、また古代の火山神と地域の農業神を習合した阿蘇神社の神官を世襲する豪族であった。保延年間には、阿蘇山麓に開発した田地を中院右大臣家(源雅定)を領家、安楽寿院を本家とする荘園として寄進し、開発領主から本所へと地位を固めた。さらに健軍社(健軍神社)・甲佐社(甲佐神社)・郡浦社(郡浦神社)を傘下とし、白川・緑川流域に当たる肥後国中央部を勢力下に置いた。阿蘇神社は肥後国一宮となり、宮の造営などの経費は一国平均の役で賄われるなど、権威を拡大した。これらの権勢を背景に、阿蘇氏は武士団を形成した。それは、保延3年(1137年)の資料に初見される、宇治惟宣が神官の長が武士団の長を兼ねる際に用いる「大宮司」を称したことを始まりとしている。
또다른 중세 히고의 유력 무사단이 된 아소씨(본래 성은 우지(宇治))는 특이한 성격을 갖고 있었다. 아소씨는 아소 국조(国造[2])의 계열을 칭하며, 또한 고대의 화산신과 지역의 농업신을 함께 모시는 아소 신사의 신관을 세습하는 호족이었다. 호엔(保延) 연간(1135~1141년)에는 아소산 기슭에 개발한 밭을 나카노인 우대신(中院右大臣)이라 불리는 미나모토노 마사사다(源雅定)를 영가(領家[3]), 안라쿠쥬인(安楽寿院)을 본가(本家[4])로 하는 장원으로서 기증했다. 이로서 아소씨는 개발영주에서 본소(本所[5])의 지위를 굳혔다.
또한 켄군신사(健軍神社[6]), 코사신사(甲佐神社), 코노우라신사(郡浦神社)를 산하로 두고, 시라카와 강과 미도리카와 강 유역에 해당하는 히고국 중앙부를 세력하에 두었다. 아소신사는 히고국의 일궁(一宮[7])이 되었고, 신사의 조영 등의 경비는 일국평균역(一国平均役[8])으로 조달하는 등, 그 권위를 확대했다. 이러한 권세를 배경으로 아소씨는 무사단을 형성했다. 그것은 호엔 3년(1137년)의 자료에서 처음 나타나는데, 우지 코레노부(宇治惟宣)가 신관의 장이 무사단의 장을 겸할 때 쓰는 ‘대궁사’(大宮司)를 칭한 것이 그 시초다.
なお、阿蘇氏は名の通り阿蘇を出自とするものの、全盛期は、阿蘇の南外輪山・現在の山都町にあったとされる「浜の館」時代であった。当時は阿蘇よりも矢部の方が生産性が高く地の利が良かったようで、「岩尾城」「愛藤寺城、別名矢部城」など要害の地に立つ堅牢な山城を築城して勢力を誇った。
또한 아소씨는 이름대로 아소 출신이지만, 전성기는 아소의 남외륜산 즉, 현재의 야마토 정(山都町)에 있었다고 하는 ‘하마노야가타’(浜の館) 시대였다. 당시는 아소보다 야베(矢部) 쪽이 생산성이 높고 지리적으로 이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와오성(岩尾城), 아이토지성(愛藤寺城, 별명 야베성(矢部城)) 등 요해처에 있는 견고한 산성을 축성해 세력을 자랑했다.
사진출처
* 아소 신사
* 키쿠치 신사
[1] 郡司(군사, 군지, 코오리노쯔카사) : 율령제에서, 국사 밑에서 군을 다스리던 지방관
[2] 国造(국조, 코쿠조, 쿠니쯔코, 쿠니노미야쯔코) : 다이카 개신 이전의 세습제 지방관. 지방의 호족으로 조정에서 임명받아 그 지방을 통치했다. 다이카 개신 이후 폐지됐으나, 대부분은 군사(郡司)가 됐다.
[3] 領家(영가, 료케) : 일본의 장원제도에서 개발영주로부터 장원을 기증(기진)받은 영주. 중앙의 유력 귀족이나 절, 신사가 영가가 됐다.
[4] 本家(본가, 혼케) : 일본의 장원제도에서 최상위에 위치한 명의상의 소유권자.
[5] 本所(본소, 혼죠) : 일본의 장원제도에서 본가, 영가 중에서 장원의 실효지배권을 가진 사람
[6] 켄군 신사는 히노키미(火君)의 선조라고 알려진 타케오쿠미(建緒組命)를 주신으로 모시고 있다.
[7] 一宮(일궁, 이치노미야) : 각 율령국에 있는 신사 중에 최고의 사격을 가진 신사
[8] 조정의 허가를 받아 부과하는 임시 조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