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쿠마모토 소식/관광관련 소식

쿠마모토 1월 말~2월 초 다양한 전시회 소식

by kumamon.kr 2025. 1. 22.
반응형

1월 말~2월 초 쿠마모토현 각지에서 열리는 다양한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몽골 침략 750주년 특별전시 《몽고습래회사의 실제》


카마쿠라 시대에 몽골(원나라)이 일본을 침입한 지 올해로 750년입니다. 당시 막부는 큐슈의 무사단을 소집하여 몽골의 침략을 격퇴했습니다. 일본에서는 이를 원구(元寇; 겐코)라 부릅니다. 

본 기획전에서는 원구 때에 참전한 우키시 출신의 무사 타케자키 스에나가(竹崎季長)가 당시 상황을 그린 ‘몽고습래회사’의 복제품 및 원구의 무대인 타카시마(鷹島) 앞바다의 해저에서 출토된 몽골군의 유품을 함께 전시합니다. 당시 스에나가가 본 리얼한 풍경을 소개합니다.

* 기간 : 1월 26일(일)까지
* 장소 : 우키시 시라누이정 시라누이 미술관(不知火美術館)
* 주최 : 우키시 교육위원회

 

특별기획전 《나스 료스케의 만요슈》

 

나스 료스케( 那須良輔, 1913~1989)는 정치풍자, 캐리커쳐, 풍경화 등 다양한 표현을 통해 마음에 남는 메시지를 발신해 나갔던 유명 만화가로, 쿠마모토현 유노마에정(湯前町) 출신입니다.
나스 료스케에 가까워지는 특별전시가 열립니다. 
50년 이상 만화가로서 활약한 나스 료스케의 풍자만화, 지금도 읽히는 그림책 삽화 등 귀중한 원화 자료를 다수 전시합니다. 관내에서 작품집과 그림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 기간 : 1월 30일(목)까지
* 장소 : 코시시(合志市) 코시 망가 뮤지엄(合志マンガミュージアム)
* 주최 : 코시 망가 뮤지엄, 유노마에 만화 미술관

 


쿠마모토일일신문 신문박물관 《전국 주요신문 신년호 전시회》

쿠마니치(쿠마모토일일신문) 등 지방지를 중심으로 전국 신문사의 새해 첫날 지면 등을 모은 전시회입니다. 여러 신문에서 발생한 지 1년이 지난 노토반도(能登半島) 지진에 대해 보도했습니다. 작년 9월의 호우까지 겹쳐, 어쩔 수 없이 피난길에 나선 주민이 2만 명을 넘어섰다는 사실 등을 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키나와 전후 80년’을 진한 류큐신문과 오키나와 타임즈, ‘한신 아와지 대지진 30년’ 등 기획기사를 게재한 고베신문 등도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쿠마니치는 쿠마모토현이 쿠마모토 종합청사 부지에 고급 호텔 유치를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을 1면 톱기사로 보도했습니다. 노토반도 대지진의 현황에 대해서도 자세히 전하고 있습니다.

* 기간 : 2월 8일(토)까지
* 장소 : 쿠마모토일일신문 신문박물관(新聞博物館)
* 주최 : 쿠마모토일일신문사

 

그림과 지도로 보는 야마가


야마가 시립박물관의 기획전입니다. 에도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온 그림과 지도 약 30점을 모아, 거기에 그려진 야마가시(山鹿市)의 모습을 되돌아 봅니다.
타이쇼(大正)에서 쇼와(昭和) 시대까지 활약한 조감도 작가 요시다 하츠사부로(吉田初三郎, 1884~1955)가 태평양 전쟁 당시 시드니만 공격에서 전사한 야마가 출신 마츠오 케이우(松尾敬宇) 중좌를 테마로 야마가와 키쿠치(菊池) 주변을 그린 <키쿠치 사적도>도 최초 공개됩니다.

* 기간 : 2월 24일(월)까지
* 장소 : 야마가 시립박물관(山鹿市立博物館) 2층 기획전시실
* 주최 : 야마가시 교육위원회

 


코시시 역사자료관 특별전 《반도체와 쿠마모토의 미래》

쿠마모토시에 TSMC 공장이 유치된 이래 반도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특별전은 반도체의 기초지식과 역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취지로 기획되었습니다. 약 30매의 패널에 토쿄 엘렉트론 큐슈(東京エレクトロン九州)에서 빌려온 직경 약 30cm의 기반(基盤), 제조장치의 모형 등을 전시합니다.
1월 29일 오전 10시에는 르네사스 세미컨덕터(ルネサスセミコンダクタ) 큐슈・야마구치의 전 사장이자 쿠마모토현 산업진흥고문인 이마무라 토오루(今村徹)의 기념 강연이 코시시 종합센터(合志市総合センター)에서 열립니다.

* 기간 : 2월 28일(금)까지
* 장소 : 코시시 종합센터(合志市総合センター) 3층 역사자료관

 

행사 정보 출처

* 쿠마모토 일일신문 이벤트 페이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