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쿠마모토 스토리/쿠마모토의 역사

쿠마모토현의 역사3 - 유구로 보는 고대 쿠마모토

by kumamon.kr 2023. 7. 14.
반응형

아다카 패총에서 발견된 조가비 탈(貝面)

 

古代 고대

遺構から見える古代の熊本

유구로 보는 고대 쿠마모토

 

日本の石器時代遺跡のうち、約1/3たる100ヶ所以上が熊本県で見されている。しかし、掘調査はヶ所でしか行われていない。多くは阿蘇外輪山一や球磨地方に位置するが、水俣市の石飛分校遺跡や天草下島のノ原遺跡なども掘され、その分布は県下全域に及ぶ。最も古いものは熊本市平山町の石の本遺跡から出土した石器類であり、炭素C14測定から30000年以上前のものと推測されている。出土4000点にのぼり、安山岩の破片から作られた小刀類や局部磨製石斧も見つかっている。これらや、九州が比較的自然環境にまれた土地であったことから、古代熊本は豊かな狩採集社生活の舞台だったと推測される。

 

일본의 구석기시대 유적 중 약 1/3에 해당하는 100곳 이상이 쿠마모토현에서 발견됐다. 하지만 발굴조사는 몇 군데에서만 이뤄졌다.

대부분은 아소 외륜산(阿蘇外輪山) 일대나 쿠마 지방(球磨地方)에 위치하지만, 미나마타시(水俣市)의 이시토비 분교(石飛分校) 유적과 아마쿠사 시모시마섬(下島)의 우치노하라(ノ原) 유적 등도 발굴되어 그 분포는 현 전역에 이르고 있다. 가장 오래된 것은 쿠마모토시 히라야마정(平山町)의 이시노모토(石の本)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류로, 탄소C14 측정 결과 3만 년 이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품의 수는 4000점에 이르며, 안산암 파편으로 만든 소도류와 부분 마제 돌도끼도 발견됐다. 이와 함께 큐슈가 비교적 혜택받은 자연환경을 지닌 땅이라는 점에서, 고대 쿠마모토는 풍부한 수렵채집 사회생활의 무대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しかしながら、九州は多くの火山噴火がもたらす環境の激に何度も襲われた土地でもあった。阿蘇山・姶良山鬼界カルデラの爆は火山灰地層を複形成し、特に石器時代中期に見られるTn火山灰層の上下に見られる出土品の比較や、石飛分校遺跡の同層上部から見つかった細石器や土器の破片などの分析を通じて火山活動が及ぼした環境や社生活への影響が究されている。その一方で、時の火流から形成された阿蘇溶岩は、後に良質かつ豊富な石材となって肥後の石工を支えた。

 

한편으로 큐슈는 많은 화산 분화로 인한 환경의 격변에 여러번 피해를 입은 땅이기도 했다. 아소산, 아이라산(良山), 키카이(鬼界) 칼데라의 폭발은 여러 화산재 지층을 형성했다.

특히 석기시대 중기에서 볼 수 있는 아이라Tn화산재(Tn火山灰) 층의 위아래에 보이는 출토품의 비교나, 이시토비 분교 유적의 같은 층 상부에서 발견된 세석기(細石器)나 토기의 파편 등의 분석을 통해 화산활동이 환경과 사회생활에 끼친 영향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당시의 화쇄류()로 형성된 아소 용암은 나중에 양질의 풍부한 석재가 되어, 히고 석공들에게 활용되었다.

 

文時代、熊本県下で見された早期の遺構は、爪形文土器が掘された人吉市の白鳥平B遺跡などわずかな例しかない。これは、約6200年前(約7300年前とも)の鬼界カルデラ爆(鬼界アカホヤ火山灰)によって九州全土が滅的な打を受けたためと考えられている。しかし文中期には下益城郡(現 熊本市南)城南町の御領貝塚阿高橋貝塚が見られ、後期になると東日本や朝鮮半島との共通点も見られる土器文化が展した。熊本平野で見された約13箇所の貝塚はそのほとんどが後期にあたり、現在の海5mあたりに位置している。宇土市の畑貝塚からはドングリ貯の痕跡も見られ、また出土した畑式土器は同型のものが沖諸島や朝鮮半島からも見されている。城南町の阿高貝塚と橋貝塚から見つかったイタホガキ製貝面や阿高式土器は、佐賀県腰岳の曜石とともに、韓釜山市東三洞(トンサムドン)貝塚からも出土している。逆に、天草市の大矢遺跡からは朝鮮半島の形式である石製結合釣り針が見つかっている。

 

이어서 조몬 시대(文時代) 유적으로 쿠마모토현 일대에서 발견된 초기 유구는, 손톱무늬 토기(爪形文土器)가 발굴된 히토요시시의 시라토리비라B(白鳥平B) 유적 등 약간의 사례뿐이다. 이는 약 6200년 전( 7300년 전이라고도 한다)의 키카이 칼데라 폭발(키카이 아카호야 화산재(鬼界アカホヤ火山灰))에 의해 큐슈 전토가 괴멸적인 타격을 입었기 때문인 걸로 생각된다.

그러나 조몬 중기의 것으로 시모마시키군(下益城郡, 현 쿠마모토시 남구) 조난정(城南町)의 고료 패총(御領貝塚), 아다카쿠로하시 패총(阿高橋貝塚)이 있으며, 후기의 것으로는 동일본이나 한반도와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 토기문화가 발전했다. 쿠마모토 평야에서 발견된 약 13곳의 패총은 그 대부분이 조몬시대 후기에 해당하며, 현재 해발 5미터 정도에 위치하고 있다. 우토시(宇土市)의 소바타 패총(畑貝塚)에서는 도토리를 저장한 흔적도 보이며, 또한 출토한 소바타식 토기는 동형의 것이 오키나와 제도나 한반도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조난정의 아다카 패총과 쿠로하시 패총에서 발견된 토굴로 만든 조가비 탈(貝面)이나 아다카식 토기는 사가현 코시다케산(腰岳)의 흑요석과 더불어 한국 부산시 동삼동 패총에서도 출토되고 있다. 반대로 아마쿠사시의 오야(大矢) 유적에서는 한반도의 형식인 석제 결합식 낚시바늘이 발견되고 있다.

 

부산 동삼동  패총의 출토유물

土器や生活はその後も進を見せ、自の色磨土器が達した。また、熊本市の上の原(うえのばる)遺跡からは竪穴建物の遺構から炭化した米と大見された。時、大部分が海であった熊本平野が海退現象や河川堆積物によって埋まり、採取のみにった食料確保から原始的な畑作への換が始まっていたことを示している。このような農耕の痕跡はこの他にも箇所から見つかっている。さらに上南部遺跡(熊本市)からは土偶や磨製石器の石刀などの特殊遺物が多く出土している。県下の文時代遺跡は約770ヶ所をえる。

 

토기와 생활양식은 그 후에도 발전해, 독자적인 흑색 마연토기가 발달했다. 또한, 쿠마모토시의 우에노바루(上の原) 유적에는 수혈(竪穴) 건물의 유구에서 탄화한 쌀과 보리가 발견됐다. 당시 대부분이 바다였던 쿠마모토 평야가 해퇴(海退) 현상이나 하천 퇴적물에 의해 매립되면서, 채집에만 의존했던 식량 확보에서 원시적인 밭갈기로의 전환이 시작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농경의 흔적은 이 외에도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또한 쿠마모토시의 카미나베(上南部) 유적에서는 토우나 간석기 돌칼 등의 특수 유물이 다수 출토되고 있다. 현내의 조몬시대 유적은 약 770곳이다.

 

これらの生活遺構は弥生期になると場所をえ、海岸線から離れた台地上に環濠集落を形成するようになった。甕や石斧など典型的な弥生時代遺物が見される遺跡はやがて熊本平野全域におよび、い範作が行なわれたことを示している。一方、沿岸部にも同時代の小規模な貝塚が見されている。宇城市三角町の文貝塚ではいた小さな貝のが多見つかった。これはホンダワラをく製塩法の名りであり、『万葉集』で歌われた「藻塩き」が行なわれていた証とされる。

 

이러한 생활 유구는 야요이 시대가 되면 장소를 바꿔 해안선에서 떨어진 대지 위에 환호취락(環濠集落)이 형성됐다. 독항아리(), (), 돌도끼 등 전형적인 야요이 시대 유물이 발견되는 유적은 곧 쿠마모토 평야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벼농사가 이뤄졌음을 나타낸다.

한편, 연안 지역에서도 동시대의 소규모 패총이 발견되고 있다. 우키시 미스미정(三角町)의 분조() 패총에서는 구워진 작은 고둥 껍질이 다수 발견됐다. 이는 모자반(ホンダワラ)을 굽는 제염법의 자취로, <만엽집>(万葉集)에서 노래한해조 소금구이’(藻塩)가 행해지던 증거로 여겨진다.

 

さらに時代が下ると、阿蘇山川流域や熊本平野の白川域および菊池川流域からも製の遺構が見された。鏃や槍鉋、農具である鋤鍬先や鎌・鉄斧、また端切れと考えられる三角形や棒などの片なども見つかっている。二子塚遺跡(熊本市)からは跡を中心に土ブロックや木炭、熱を受け錆が付着した台石など、製の痕跡が出土している。また、銅器も熊本市の王遺跡や泗水町の古閑原遺跡から出土した銅鏡などがある。弥生時代遺跡740は日本国内13%を占める。

 

시대를 더 내려가보면, 아소산 쿠로카와강() 유역, 쿠마모토 평야의 시라카와강(白川) 유역, 키쿠치강(菊池川) 유역에서도 제철() 유구가 발견됐다. 화살촉과 대패, 농기구인 가래, 괭이날, 철도끼, 또한 조각으로 보이는 삼각형, 봉 모양의 철편 등도 발견됐다.

쿠마모토시의 후타고쯔카(二子塚) 유적에서는 화로의 흔적을 중심으로 소토() 블록이나 목탄, 열을 받아 녹이 들러붙은 받침돌 등 제철의 흔적이 출토되고 있다. 또한, 청동기로는 쿠마모토시의 토쿠오() 유적과 시스이정(泗水町)의 코가바루(古閑原) 유적에서 출토된 구리거울 등이 있다. 야요이 시대 유적은 약 740개로, 일본 국내의 13%를 차지한다.

 


사진 출처

아다카 패총의 조가비 탈

부산 동삼동 패총

 

반응형